경복궁 수문장 교대식은 조선시대 때 왕실 호위문화를 상징하는 대표적인 전통행사입니다. 왕실에
수문장제도는 조선왕조실록의 수문장 제도 시행기록을 근거로 하여 1460년대 의 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는데 맞추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행사입니다.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
⦁ 수문장이 최초로 등장하는 것은 기록에 의 하면 1460년대 세조 때입니다. 그러나 수문장의 신분이
임시직에 불과했기 때문에 정식으로 수문장으로 임명된 것은 예종 1년에 조선시대 수문장이 임명
되어 수문장제도가 정식으로 출발하게 된 것입니다.
⦁ 예종 즉위 초 궁궐호위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수문장제도가 설치되어 궁궐 호위방식의 세분화가
이루어지게 되었습니다.
⦁ 궁궐과 도성의 입구를 지키는 수문장의 임무는 왕실의 안전과 가장 밀접했기 때문에, 매우 중요한
임무로 인식되었고
⦁ 초기의 수문장들은 서반 4품 이상의 무관중에서 병조의 추천을 받고 다시 국왕이 낙점을 하는 순
서를 거쳐야지만 궁궐 입직을 서는 수문장으로 임명될 수 있었습니다.
⦁ 수문장제도는 조선시대 법전인 경국대전에서 정식으로 법제화되었으며 수문장의 임무도 단순히
문을 지키는 것에 국한하지 않고 국가에서 정한 표신으로 통행자들을 관리하거나 국왕의 외출로
공백이 생겼을 시 궁성문 개폐 및 궁궐 문 열쇠를 수문장이 책임지는 등 수문장제도의 개념이 구체
적으로 확정되었습니다.
![]() |
![]() |
![]() |
![]() |
경복궁 수문장 의복.
경복궁 수문장 교대 의식 절차.
![](https://blog.kakaocdn.net/dn/MigZi/btsLp8lQc6u/RO4JSvctutexNZAQfrOvV0/img.png)
⦁ 당직수문군이 광화문에 배치된 후 초엄이 울리면 교대 수문군이 출발하여 광화문에 도착한다.
![](https://blog.kakaocdn.net/dn/Rax4J/btsLsCyPwtv/4oKzrmBF7OLtGw6DW2eW51/img.png)
⦁ 이 엄이 울리면 교대 수문장과 당직 수문장이 군례 및 신분 확인을 한다.
![](https://blog.kakaocdn.net/dn/caLEbf/btsLrONnIdj/TtOUh2KdKwkSi2DBYxa4j1/img.png)
⦁ 교대 수문군이 수문장의 호령으로 광화문에 배치되고 광화문 경계 상황과 수문군의 근태를 점고한다.
![](https://blog.kakaocdn.net/dn/XqLL6/btsLtdep78O/79B1dKNbkPK4ZjAmJrhtXK/img.png)
⦁ 당직 수문장과 수문군이 퇴장준비를 하고 삼엄이 울리면 수문장의 지휘 하에 퇴장한다.
경복궁 수문장 행사명 및 기간과 장소.
⦁ 향사명 : 수문장 교대의식.
⦁ 연중 경복궁 휴 궁일(화) 제외.
⦁ 경복궁 광화문.
경복궁 수문장 교대식 시간 및 가격.
⦁ 시간 : 10:00 ~ 14:00
⦁ 가격 : 무료이며 현장관람입니다. (소요시간 20분)
⦁ 주차시설 : 대중교통 이용.
※ 가장 큰 규모를 자랑하는 수문장 교대의식은 1일 2회, 약 70명의 수문군과 15명의 치타대가 등장
하며 진행됩니다. 수문장 교대의식은 수문장 군례 및 광화문 안전여부 확인, 근무 교대 순의 절차
로 이루어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b9hG8/btsLryX70DU/NmGGDqPMqO37jj7NzccOh1/img.png)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