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령연금기준 국민연금 가입하여 만기 후 수령하는 기본사항.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노령연금기준 국민연금 가입하여 만기 후 수령하는 기본사항.

by Bang cho ri 2025. 4. 17.
반응형

 

 

 

노령연금기준은 국민연금 가입하여 만기 후 매월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는 기본 사항입니다. 국민연

금은 국내에 거주하는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이면 거 입대상이 되고 최소 10년을 불입하였을 때

연금 수급나이가 되면 받을 수 있는 것이 노령연금입니다. 국민연금으로 매월 연금으로 수령하는 것

이 노령연금입니다.

 

 

노령연금기준.

 

 

⯄ 노령연금기준은 국만연금 가압기간 10년을 채우면 매월 노령연금을 받게 되고, 가입기간 10년을

    채우지 못하면 반환일시금과 이자를 받게 됩니다.

⯄ 국민연금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연금에는 3가지가 있습니다.

 ① 노령연금 : 국민연금을 10년 이상 가입하면 받을 수 있는 연금.

 ② 장애연금 : 국민연금 가입자가 장애를 입으면 받을 수 있는 연금.

 ③ 유족연금 : 국민연금 가입자가 사망하면 유족이 받을 수 있는 연금.

⯄ 노령연금은 국민연금 가입자가 받을 수 있는 3가지 연금 중 하나이기 때문에 노령연금과 국민연

    금은 같은 것입니다.

노령연금 기준  언제부터 수급되는가?

⯄ 노령연금은 처음에 만 60세부터 받을 수 있었지만, 

⯄ 2013년부터 5년마다 1살씩 늦어져서 1965년 ~1968년생(만 64세), 1969년생 이후 출생자(만 65

   세)부터 노령연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 기준 수령방법 3가지.

⯄ 정상노령연금 수령방법.

  - 정상적인 지급시기인 1969년생 이후출생자(만 65세)부터

⯄ 조기노령연금 수령방법.

  - 정상적인 지급시기보다 최대 5년까지 앞당겨 수급할 수 있는 방법.

⯄ 연기노령연금  수령방법.

  - 정상적인 지급시기보다 최대 5년까지 늦춰 수령할 수 있습니다.

 

노령연금 기준 수령방법 3가지 특징.

구분 만64세 노령연금 수급자 특징
정상 노령 연금 만64세 에 정상노령연금을
100만원 받을 수있는사람
정상적인 지급시기인 1968년생 이후출생자(만64세)부터 수급할 수있습니다.
조기 노령 연금 조기노령연금신청해서 만59세부터노령연금능 받게되면 1년에 6%씩 감액되어 5년을 미리받으면 30%까지 감액된 70만원을 평생 
 수급하게됩니다.
연기 노령 연금 연기노령연금을 신청해서 만69세에 노령연금을 받게되면 1년에 7.2%씩 증액되어 5년을 늦춰받으면 36%까지 증액되어 136만원을 평생받게됩니다.

※ 노령연금 수령방법 3가지 종류에서 조기연금 수령과 연기연금 수령에 대한 내용입니다.

조기연금 감액률 수령금액 연기연금 증액률 수령금액
정상개시    100만원 정상개시   100만원
1년  6% 94만원 1년 7.2% 107.2만원
2년 12% 88만원 2년 14.4% 114.4만원
3년 18%  82만원 3년 21.6% 121.6만원
4년 24%  76만원 4년 28.8% 128.8만원
5년  30% 70만원 5년 36% 136만원

※ 조기연금방식에 감액률과 금액, 그리고 연기연금에 증액률과 수령액의 내용입니다.

 

노령연금기준 노령연금 수급 가능연령.

 

⯄ 조기노령연금은 5년 앞당겨서 받게 되고, 연기노령연금은 5년 후에 연금을 수령하개됩니다.

⯄ 조기노령연금은 연 6% 씩 감액되고 연기노령연금은 연 7.2% 씩 증액됩니다.

노령연금기준 국민연금 추후납부.

⯄ 추후납부.

  - 군 입대나 실직 둥으로 납부 예외기간과 무소득 배우자 등의 사유로 적용제외 기간 동안 납부하

    지 못한 보험료를 추후에 납부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입니다.

⯄ 가입기간 복원과  연금 수급권 확보 가능합니다.

 

 

 

노령연금기준  국민연금 추납제도.

⯄ 신청자격 : 국민연금에 소득신고하거나 임의(계속) 가입 중인경우.

⯄ 대상기간 : 최대 10년 미만(119개월)

⯄ 신청기한 : 자격유지 기간 중 신청가능.

⯄ 납부방법 : 일시납, 최대 60회 분할가능.

⯄ 보험료 산정기준.

  - 추후납부를 신청한 날이 속하는 달의 연금보험료에 추납 하고자 하는 기간의 월수를 곱한 금액.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