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녀와의 만남장소, 반보기 !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모녀와의 만남장소, 반보기 !

by Bang cho ri 2023. 8. 24.
반응형

 

 

 

예전부터 전해오는 반보 기는 시집간 딸이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친정어머니와 만나기 위한 풍속이었다. 가족이었거나 친지들이  다른 마을로 삶을 이전하여 세월을 보내다 보니 그리움에 만나기 위한 풍속이다. 출가외인이 된 딸이 친정어머니를 보기 위해 이용했던 풍속으로  모녀 상봉 장소를 만들어준 것이다.

1. 반보기 정의.

근래의 일상생활환경에서 반보 기라는 것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만남의 형식이었다. 반보기의 의미는 여러 가지 해설로 전해 내려오고 있었다. 서로거리를 두고 생활을 해온 양가 부녀자들이 사람을 보내 중간에서 만나 그동안의 회포를 푸는 풍속이었다. 그리고 출가외인의 엄격한 생활관습으로 여인네들에 외출이 자유롭지 못해 양가에서 서로 사람을 보내 중간지점에서 만나기로 한 것이다. 특히 출가외인이 된 며느리는 친정가족과 만나는 일은 역시 쉽지가 않았다. 반보 기는 일 년 동안 시집살이하던 며느리가 허락을 받아 친정으로 사람을 보내 중간에서  만나는 장소와 시 간을 정해 추석날 어머니를 만나는 풍속이다. 시기선택도 무더운  한여름과 혹한기 겨울철보다는 오곡이 무르익은 한 해의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온화한 계절인 추석명절에 만난다. 무엇보다도 반보 기를 뜻있게 볼 수 있는 것은 시집보낸 어머니와 시집간 딸과의 애절한 관계로 많이 이용되었다. 일 년이고 또는 몇 년 동안 친정엘 가지 못한 며느리를 위해 추석을 앞두고 시집에서  친정으로 사람을 보내 날짜와 시간과 장소를 정해 모녀의 상봉을 주선하는 반보기 풍습이다. 친정에서도 사람을 보내 시집간 딸을 보고자 행하는 풍속이었다. 반보기 풍속은  시집보낸 어머니와 시집간 딸 간의 일 년에 한 번 이루어지는 눈물의 상봉이다.

2. 반보기 유래.

반보 기는 조선시대에 접어든 유고숭배사상과 남녀불평등에서부터 시작되어 유교사상으로 표현된 것이다. 중로(中路) 보기, 중로상봉(中路相逢)으로 부른다. 친정어머니와 시집간 딸이  중간 지점에서 만남의 표현이 어원이다. 여인네들의 외출을 자제시켜 온 조선시대의 관습에서 비롯된 것 같다. 오곡이 풍요로운 계절에  친정어머니를 중간지점에서 만날 수 있는 반보 기는 며느리의 애틋한 의미를 갖고 있다. 시집간 딸이 오랜만에 중간지점에서 어머니를 만나면 고뇌에 찬 눈물의 상봉이 된다. 어머니와 딸은 손을 잡고 그동안의 회포를 풀고 다시 딸과 헤어짐에 아쉬움으로 가슴이 메일 것이었을 것이다. 딸은 짧은 만남으로 어머니와 헤어져 시집으로 돌아가야 하는 애틋한 풍속은 우리들에 마음을 뭉클하게 한다. 반보 기라는 만남도 시집에 허락을 받고 아랫사람을 친정으로 보낸다. 시집과 친정 중간 지점에서 만날 날짜와 시간, 장소등을 정하게 된다. 만날 시기는 오곡이 풍요롭고 농한기인 추석에 날을 잡는다. 이날은 시집살이하는 며느리가 한나절 시집에 허락을 받아 친정어머니를 만나러 가는 날이다. 하도하도 어머니가 보고 싶어 시집에 반보기 허락을 받는다. 시집간 딸은 절반을 가고, 어머니는 절반을 와서 눈물을 흐리며 만나는 것이 반보기로 정착된 것이다. 반보 기는 세월이 말해주듯 시집살이가 보편화되면서 되면서 사라지는 풍속이 되었다. 반보기 만남은 친정어머니와 시집간 딸의 애환을 표현한 풍속이다.

 

 

3. 사라진 빈보기.

세월이 흘러 흘러 이제는 음력 8월 15일 대보름에 반보 기는 사라졌습니다. 시집을 보낸 어머니와 시집간 딸은 보고 싶으면 화상을 통한 만남이 이루어지는 세상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가족 간에 구성원이 핵가족으로 되어 항시 부모님을 만나 뵙고 싶으면 언제든지 만날 수가 있습니다. 근래에 와서는 시집살이가 거의 없어져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오히려 처가살이가 대두될 정도가 되고 있습니다. 산업화발전과 더불어 전문직에 종사하는 여성들이 많아 맞벌이 부부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이유이기도 합니다. 결혼하여 맞벌이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시집족보다는 친정 쪽으로 보금자리를 만드는 것이 당사자들은 좋게 생각하는 것 같습니다. 생활환경이 자연스럽게 변하면서 친정어머니와 딸과의 반보 기는 사라지고, 어머니와 아들과의 반보기가 생기게 된 것 같습니다. 가족 간에 생활패턴이 이렇게 변하게 된 것은 사회적, 문화적으로 변화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어머니와 아들과의 현대판 반보기로 변하는 것이 순리가 아닌가 싶습니다. 반보 기는 친정어머니와 딸과의 관계로 어원이 된 것입니다. 이제는 며느리와 시어머니와 남편과의 반보기 세상이 현실화되는 것이다. 친정어머니가 제외되고 시어머니와 남편이 만나게 되는 현실 반보기가 되는 것이다. 사회적 환경이 급속도로 변하면서 가정생활의 환경도 자연스럽게 변하는 세월을 막지 못하게 되는 현실이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