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관세 상대국의 관세부과에 동일 수준 관세부과 방법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상호관세 상대국의 관세부과에 동일 수준 관세부과 방법

by Bang cho ri 2025. 3. 13.
반응형

 

 

 

상호관세는 상대국이 우리가 수출한 품목에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상대국 수입품에 대하여 적정

한 수준에서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입니다. 상호관세는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는 아닙니다. 상호

관세는 쌍방 내수시장에서 소비자가격이 상승될 수 있는 요인이 되기도 합니다.

 

 

상호관세 관세 개념.

 

 

 

관세는 외국에서 수입하는 물품에 대해  일정세율을 적용하여 부과하는 세금을 의미합니다.

자국 산업을 육성보호하고 소비자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외국 제품의 가격에 관세를 부과하여

    자국제품의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게 합니다

 

상호관세와 트럼프 대통령의 보편관세.

상호관세는 수ㆍ출입 무역거래를 하는 국가 간에 상호협의를 하여 유연성 있게 관세를 부과하는

    방법입니다.

  - 상호관세는 우리가 수출한 제품에 대하여 상대국에서 현실에 맞지 않는 높은 관세를 부과하면

    우리도 상대방 국가의 수입제품에 대하여 같은 수준으로 관세를 부과하는 정책입니다.

  - 상호관세는 수ㆍ출입 거래를 하는 국가 간에서 자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하는 국가에 대해

    동일한 수준의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것입니다. 

  - 상호관세는 상대국가와의 수ㆍ출입 거래하는 과정에서 보호적인 무역이라고는 볼 수가 없게 됩

    니다.

⯄ 보편관세는 수ㆍ출입 거래를 하는 국가 구별하지 않고 수입되는 모든 제품에 대해 동일한 세율의

    관세를 부과하는 제도를 말합니다.

  - 특정 국가를 차별하지 않고 모든 외국 제품에 대해 동일한 세금을 적용하는 방식입니다.

  - 보편관세적용으로 수입품의 가격이 전반적으로 상승할 수 있으며 소비자에게 부담을 줄 수 있다.

   

상호관세 소비자 가격영향. 

⯄ 자국의 산업육성을 지원하고 보호하기 위해 상호관세를 부과하게 되면 쌍방국가에서는 소비자가

    격이 상승할 수밖에 없게 됩니다.

⯄ 상호관세를 부과하면 수입품에 부과된 관세는 소비자 가격으로 전가되는 경향이 있게 됩니다.

⯄ 상호관세로 수입제품에 관세인상 적용은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를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 소비자들이 관세부담을 하게 되고 인플레이션 상승에 요인이 될 수도 있습니다.

 

 

 

상호관세 부작용.

수ㆍ출입 거래를 하는 국가 간에 상호관세를 적용하면 세계경제에 영향을 미치게 되고, 물가상승

    요인에 영향이 있게 됩니다.

상호관세는 자국 산업 보호와 무역 적자를 해소하는데 기여할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국제 무역

    질서를 불안정하게 만들고 소비자 물가 상승을 초래할 위험이 있습니다.

상호관세의 부작용으로 교역량 감소로 세계경제 축소 되면서 경기 둔화가 될 수 있습니다. 

⯄ 상호관세는 무역거래 보복이 반복되면서 기업들의 활동이 위축될 수 있습니다.

상호관세 대응.

⯄ 한미 FTA가 방패는 될 수 있지만 상대국이 무역적자 이기 때문에 상호관세는 불가피하게 될 것입

    니다.

⯄ 미국의 상호관세실시로 그동안 한국산 자동차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대미 수출에서

    관세를 내지 않았었다 그러나 앞으로는 관세를 몇%의 관세가 적용될지가 관심이다.

⯄ 미국 대통령이 한국 등 부가가치세 제도를 가진 나라들을 사실상 상호관세 부과 가능성을 예고했

    기 때문에 이에 대응할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 특히 수출업종에 큰 비중을 차지하는 자동차와 반도체 등 정책적으로 관심을 갖고 대응을 해야

    합니다.

 

 

상호관세 전망.

⯄ 미국과 우리나라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대미 수출에서 관세를 내지 않았지만 비관세

    국가에 대해서도 상호관세 입장을 표명하여 품종별로 큰 타격이 예상될 수 있습니다.

⯄ 미국의 상호관세정책에  한국이 추가 관세 부과대상에 포함된다면 자동차와 반도체 등은  타격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

⯄ 상호관세가 실시되어 추가 관세 부과가 현실화될 경우 자동차 업계에서는 가격경쟁력이 떨어져

    현지에서 판매 감소가 불가피하다.

한국 입장에서 더 큰 문제는 각각 대미 수출 품목 1, 2위인 자동차, 반도체가 품목별 관세 대상이

    될 가능성이다. 

 

 

상호관세의 선택의도.

⯄ 상호관세를 실시하는 의도로는 자국에 수입장벽을 높이려고 하는 의도로 보인다.

⯄ 상호관세를 적용하여 자국에 제조업 육성을 하고 

⯄ 무역적자를 축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소비자 물가 가격이 상승될 소지가 됩니다.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