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글에서 중복없는 정규URL로만 색인되도록 유인
육아휴직, 육아양육부담해소ㆍ생활안정.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육아휴직, 육아양육부담해소ㆍ생활안정.

by Bang cho ri 2023. 12. 24.
반응형

 

 

 

육아휴직은 근로자가 육아양육부담해소로 생활안정을 찾고 일상생활에 전염하도록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근로자의 자녀가 만 8세 아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와 영유아를 양육하는데 육아부담 해소에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육아휴직을 신청하여 편안한 삶을 누리기를 바랍니다.

 

▸육아휴직 개념.

 

 

육아휴직은 여성 근로자가 임신 중이거나, 근로자의 자녀가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양육하기 위해 사업장에 신청하여 소정기간을 휴직하는 것입니다. 

근로자의 육아양육부담을 해소하고 생활안정과 고용안정을 도모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그리고 기업의 숙련된 인력 확보를 위하여 지원하는 제도입니다. 

 ※ '20.2.28. 부터는 부부가 동시에 육아휴직 신청 가능하고, 임신 중 육아휴직은 '21.11.19.부터 가능합니다.

▸ 육아휴직 기간.

 • 유아휴직의 기간은 1년 이내입니다.

 • 자녀 1명당 1년 사용가능하므로 자녀가 2명이면 각각 1년씩 2년 사용가능.

 • 근로자의 권리이므로 부모가 모두근로자이면 한 자녀에 대하여 아빠도 1년, 엄마도 1년 사용가능하며, 부부가 동시에 

    같은 자녀에 대해 육아휴직 사용 가능합니다.

▸ 지급액

▸ 지급대상. 

 •  사업주로부터 30일 이상 육아휴직을 부여받아야 합니다.

    근로한 기간이 6개월 미만인 근로자는 사업주가 육아휴직을 거부할 수 있으니 유의하세요.

    * '20.11월부터 육아휴직(육아기 근로시간 단축포함)을 '30일 미만으로 분할하여 사용한 경우에도, 

       육아휴직기간을 합산하여 30일 이상의 경우에는 지급(다만, 합산대상에 포함하려는 육아휴직은 육아휴직 급여 

       청구일 기준으로 1년 이내에 종료된 육아휴직이어야 함

   •  육아휴직 개시일 이전에 피보험단위기간(재직하면서 임금 받은 기간)이 모두 합해서 180일 이시이 되어야 한다.

      ⓵ 수급자격인정과 관련된 이직일 이전의 피보험단위기간은 산입 되지 않음.

       이직 후 재취득까지의 기간이 3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외.

▸ 육아휴직 급여 특례

▸ 지급제한

육아휴직 중 다른 사업장에 취업하여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거나, 근로소득 또는 사업소득이 월 150만 원 이상인 경우에는 급여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지급제한(교용보험법 시행규칙 제116조 제3항)]육아휴직 중 다른 사업장에 취업하여 근로소득이 발생하거나, 자영업

등 사업소득이 발생한 경우에는 급여신청 시 해당사항을 기재하여야 하며, "지급제한 기준"을 넘어서는 소득이 발생하면

급여 지급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급여 지급제한 기준(⓵ 또는⓶해당 시)

 ⓵  1주 동안의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인 경우.

 ⓶  자영업을 통한 소득 또는 근로를 제공하여 그 대가로 받은 금품이 육아휴직급여 월 상한액(월 150만 원) 이상인경우.

 

    - 육아휴직 기간에 위와 같이 취업한 사실을 적지 않거나 거짓으로 적은 경우에는 그 위반 횟수에 다라 급여 지급이

      제한되고, 육아휴직급여 부정수급 처리될 수 있습니다.

   • 1회 : 해당 취업한 기간 동안에 해당하는 육아휴직급여.

   • 2회 :  두 번째 취업한 사실이 있는 월의 육아휴직급여.

   • 3회 : 급여를 지급받았거나 지급받으려고 한 날 이후의 모든 육아휴직급여.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