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글에서 중복없는 정규URL로만 색인되도록 유인
임대차계약신고 주택임대차 계약체결후 30일 이내 신고.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대차계약신고 주택임대차 계약체결후 30일 이내 신고.

by Bang cho ri 2025. 6. 2.
반응형

 

 

 

임대차계약신고는 임대차보호법에 의거 주택을 임대차 계약체결 후 30일 이내 주거지 관할 주민센터나 인

터넷으로 신고하게 되어있습니다. 임차인 보호위주로 만들어진 법으로 임대인이나 임차인 중에서 어느 한

쪽이 신고를 하면 됩니다. 신고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임대차계약신고.

 

 

⯄ 임대차 계약 신고는 주택임대차보호법에 의해 임대차계약을 하면 30일 이내 주거지 관할 주민센터나 인

    터넷으로 신고하게 되어있습니다.

⯄ 2025년 6월 1일부터 전ㆍ월세 계약 시 30일 이내 신고를 안 하면 과태료가 최대 30만 원 부과됩니다.

⯄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에 관한 개정 법령안이 시행되기 전 계도기간을 도고 있었습니다.
⯄ 임대차계약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가 부과됩니다.

 

임대차계약 신고 대상.

⯄ 임대차계약신고대상자는 보증금 6,000만 원이나 월세 30만 원 을 넘는 임대차계약을 하면 임대인과 임

    차인이 30일 안에 계약 내용을  지방자치단체에 신고하도록 되어있습니다.

⯄ 30일 안에 신고하지 않고 위반하면 과태료를 부과하도록 되어있습니다.

2025년 6월 1일 이후에 전ㆍ월세계약을 한 후 30일 이내 신고를 하지 않으면 과태료 대상입니다.

임대차계약 신고 예외 대상.

⯄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 신고를 해야 합니다.

⯄그러나 임대인과 임차인 중에서 한 명이 서명된 계약서를 제출하면 공동신고로 간주됩니다

⯄ 군 단위 지역.

⯄ 상가 임대 제외.

⯄ 보증금 6천, 월세 30만 원 이하.

⯄ 묵시적 갱신이나 임대료 변동 없는 갱신계약.

⯄ 2021년 6월 1일 이전에 계약된 전ㆍ월세 주택 임대차 계약은 전ㆍ월세 신고 대상 아닙니다. 

임대차계약신고 주택대상.

⯄ 주택임대차보호법상 주거용 건물로 단독주택, 다가구주택, 아파트, 연립다세대, 주거용 오피스텔, 기숙사

    고시원 등입니다.

 

 

임대차계약신고 미신고 과태료부과금액

임대차계약신고 확인사항.

⯄ 2021년 6월 이전 계약은 신고 대상이 아닙니다.

⯄ 2025년 6월 이전 계약은 신고의무는 있지만, 계도기간 계약이므로, 미신고 시 과태료 없음.

⯄ 2025년 6월이 후 계약 미신고 사 과태료 부과.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