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4.5 일제가 정착하기 위해서는 기업에 작업환경과 근로자의 의식 그리고 사회적인 합의가 선결
되어야 한다. 법정근로시간 단축으로 인한 생산성 향상과 경쟁력 저하 등을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앞으로 주 4.5일제는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근로시간으로 되어가고 있는 현실입니다.
주 4.5 일제.
⯄ 주 4.5 일제는 주 40시간 근무제를 주 35시간 근무제로 단축 조정하는 제도입니다.
⯄ 주 4.5 일제 근무시간으로 정치권과 기업 그리고 노동계 등에서 활발히 논의가 되고 있습니다.
⯄ 노동계는 근로시간을 일과 삶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근로시간이 되어야 한다며 찬성하고
⯄ 경영계는 경제 불확실상과 경쟁력저하를 우려하며 반대를 하고 있는 현실입니다.
주 4.5 일제 유형.
⯄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주 4.5일제 근무.
⯄ 금요일 오전 4시간만 일하고 퇴근하는 4.5일제
⯄ 평소에 11시간 근무를 더한 뒤 몰아서 쉬는 주 4.5일제.
⯄ 임금삭감 없이 격주 주 4일제와 일주일에 35시간제, 매주금요일 반일근무하나를 선택.
주 4.5 일제 근무 기업체.
유형 | 기업체명 | 내용 |
---|---|---|
4.5 일제 | 우아한 형제들 | 매주 월요일 오후 1시출근 (주35시간) |
위드이노베이션(여기어때) | 매주 월요일 오후 1시출근 (주35시간) | |
야아두 | 한달 2번 월요일 오후 2시 출근 | |
브레인터머스 | 매월 마지막 주 금요일 오후 3시 퇴근 | |
변형된 주 4.5 일제 | 에네스티 | 주 4일제 적용 (하루 9시간 근무) |
보리출판사 | 하루 6시간 근무 (오후 4시 퇴근) |
![]() |
![]() |
![]() |
![]() |
주 4.5 일제 시행 선결과제.
⯄ 주 4.5 일제를 시행에 앞서기업의 생산성과 임금 보전 사이에서 어떻게 균형을 맞출지가 선결과
제입니다.
⯄ 기업의 생산성향상은 매출과 연계되기 때문에 근로자와 각 기업에 맞는 환경조성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 각 기업의 업종에 따른 직무와 연관되는 환경조성이 단계별로 만들어져야 합니다.
주 4.5 일제 단점.
⯄ 인력이 적고 자금사정이 좋지 않은 중소기업에서는 4.54.5일제 논의가 부담이 된다..
⯄ 영세사업장의 경우 근로자 구하기가 어렵고 난감한 걱정이 된다..
⯄ 지방에서 운영하는 소기업에서도 인력란이 심화되어 어려운 상황이다.
주 4.5 일제 장점.
⯄ 주 4.5 일제를 실히 하여 삶의 여유가 있으며 자기 계발시간을 가질 수 있다.
⯄ 근로자의 만족도가 높아 기업의 생산성이 향상될 수가 있다.
⯄ 인력란이 어려운 기업에 젊은 청년층들에 호응을 얻을 수 있다.
⯄ 직업에 대한 번아웃 증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도 있다.
![]() |
![]() |
![]() |
고용노동부
지속가능하고 미래지향적인 노동시장 구축 일자리 기회는 확대하고 일터 문화는 혁신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겠습니다. 이전 슬라이드 다음 슬라이드 자동 넘김 정지 자동 넘김 재
www.moel.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