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글에서 중복없는 정규URL로만 색인되도록 유인
추석명절 선물과 부모님 용돈드리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추석명절 선물과 부모님 용돈드리기.

by Bang cho ri 2024. 9. 3.
반응형

 

 

 

 

추석명절선물을 드리고 별도로 부모님 용돈을 형편에 맞게 성의껏 드리면 될 것 같습니다.  부모님

용돈은 항상 그렇듯이 고민이 되는 것입니다. 여유가 있으면 있는 대로 없으면 없는 대로 만감이 교

차되기도 하는 피할 수 없는 일정이니  슬기롭게 처신을 해야 할 것입니다.

 

추석명절 정의.

 

 

 

   - 추석명절은 오곡이 익어가는 풍성한 계절에 맞이하는 명절로 오래전부터 전해 내려오는 명절입

     니다.

   - 우리나라의 사계절 중 춥지도 않고 덥지도 않은 가을에 오곡이 익어가는 계절의 속담에는 더도

     말고 덜도 말고 한가위만 큼만 같아라 말이 있는 여유로운 계절입니다.

   - 한 해 동안 농사를 짓고 알곡을 걷어들이는 계절로 마음과 몸이 품성 한 명절입니다.

   - 형제와 친지들이 각자의 삶에 현장을 떠나 고향에 돌아와서 가족을 만나 오래간만에 즐거운 시

     간을 보낼 수 있는 기회입니다.

   - 추석날 에는 아침부터 조상님들에게 차례를 올리고 성묘를 가게 됩니다.

추석명절 선물.

   - 선물은 시집이나 친정이나  같은 물건의 선물을 사전에 준비하여 차질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 사위와 며느리가 같이 협의하여 차후에 말썽이 생기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똑같은 선물을 하지

     않아 시집 쪽에 선물이 빈약하게 되면 분명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선물은 주고도 욕을 먹지 않도록 세심하게 준비해야 합니다.

   - 부모님들의 선물 중 건강식품을 계속 사드릴 것이 아니고 1회성 선물이면  차라리 용돈으로 드리

     는 것은 어떨까요?

     선물한 건강식품은 부모님들이 드시다가 떨어지면 본인들이 사서 먹는 일이 없는 일회성 선물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추석명절 부모님 용돈.

   - 부모님 용돈도 사위와 며느리가 사전 협의하여 준비하는 것이 슬기로운 생활방식입니다.

   - 용돈은 본인들의 형편과 부모님들의 형편에 맞게 드리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 부모님들이 내색은 하지 않지만 선물을 받았어도 마음속으로 적으나 크나 용돈을 바랍니다.

   - 용돈을 사정에 의해 드리지 못하게 될 형편이면 사위나, 며느리가  정중하게 말씀을 올려 드리면

     긍정적으로 생각들을 하시게 됩니다.

   - 부모님 용돈으로 인해 가정에 싸움이 되는 것은 슬기롭게 삶을 살아가는 것이 아닙니다.

 

추석명절 차례상.

  - 위 화면 은 추석명절 차례상입니다.  차례상은 지방과 집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화면 아래 1열 : 과일, 약과, 강정 (홍동백서 혹은 조율이시에서 선택)

                              홍동백서는 붉은 과일은 동쪽, 흰색과일은 서쪽.

                              조율이시는 좌측부터 조(대추), 율(밤),  이(배), 시(곶감) 순서로 진설한다.

                              호두 혹은 넝쿨과일을 쓰고, 끝으로 조과류(다식, 약과, 산자)를 진설한다.

                     2열 : 포, 나물, 김치, 식혜 (좌포우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놓는다)

                      3열 : 육탕, 소탕, 어탕 순으로 놓는다

                               (소탕은 두부와 채소를 넣어 만든 탕, 어탕은 생선을 넣어 만든 탕)  

                     4열 : 적, 전 

                               (어동육서는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선의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5열 : 송편 

                               (좌반우갱은 밥은 왼쪽, 국은 오른쪽) 추석에는 밥대신 송편)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