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운드리 개발제품을 전문적으로 웨이퍼를 생산기업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파운드리 개발제품을 전문적으로 웨이퍼를 생산기업

by Bang cho ri 2025. 3. 21.
반응형

 

 

 

파운드리는 설계는 하지 않고 고객이 개발제품을 전문적으로 웨이퍼 생산을 하는 방식입니다. 예전

에는 반도체 회사들이 제품개발에서 생산 판매까지 한 곳에서  마무리를 하였고 종합반도체업이라

고 하였습니다. 그 후 본격적으로 팹리스가 생기고 다음에 파운드리가 생기게 됩니다. 반도체 핵심

적인 용어를 알아보겠습니다.

 

 

파운드리 개념.

 

 

 

                                                       웨이퍼 생산기업

⯄ 파운드리는 웨이퍼를 생산하는 반도체 기업으로 위 화면을 참조하면 이해가 빠를 것입니다.

⯄ 파운드리는 한마디로 설계는 하지 않고 고객이 개발한 제품을 전문적으로 웨이퍼 생산하는 것을 

    파운드리라고 한다.

⯄ 파운드리는 반도체 제조를 전담하는 과정 업체이며 팹리스 설계에 따라 반도체를 생산만 하는 기

    업으로 한국에 삼성과 대만에 TSMC가 파운드리에 해당됩니다.

⯄ 반도체 기업들은 모든 IT산업의 기반이 되는 산업으로 상품기획, 회로설계, 공정개발, 제조, 패키

    징을 한 생산 기업을 종합반도체업 기업이다.

⯄ 반도체 기업은 종합반도체기업, 설계점문기업, 수탁제조기업, 후공정 기업으로 분류될 수 있다.

⯄ 반도체산업은 용도에 따라 메모리반도체와 비메모리반도체로 구분된다.  

파운드리 나온 배경.

⯄ 예전에는  반도체 사업을 한 곳에서  모두처리를 하기 때문에  굉장히 힘이 들었다고 합니다.

⯄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본격적으로 팹리스라는 것이 생기고, 그다음에 파운드리라는 것이 생기

    게 됩니다.

⯄ 1990년대 이후 반도체회사는 대부분 팹리스입니다. 반도체 산업이 제조와 설계로 이원화된 것이

    니다

⯄ 설계는 팹리스, 설계 즉 팹리스를 제조하는 것을 파운드리, 팹리스와 파운드리를 하면 IDM(종합

    반도체업체)이고 모두 만든 것을 포장하면 패키징이다.

⯄ 반도체 산업에서 상품기획, 회로설계, 공정개발, 제조, 패키징을 하던 종합반도체업 기업을 웨이

    퍼생산과 패키징 테스트 부분만을  따로 분류하여 생산하는 업체로 구분된 것이 파운드리입니다

파운드리 연관용어.

⯄ 웨이퍼[Wafer] : 반도체의 재료가 되는 얇은 원판. 반도체 직접회로 원판 핵심소자로서 둥근 판 안

    에 많은 칩이 있다.

⯄ 팹[Fab=Fabrication] : 반도체 웨이퍼를 생산하는 생산시설]

⯄ 팹리스[Fabless] : 반도체의 설계와 개발만을 수행하는 기업. 웨이퍼 생산시설이 없다는 뜻.

⯄ 파운드리[Foundry] : 반도체 제조를 전담. 팹리스 설계에 따라 반도체를 생산만 하는 기업. 삼성,

    TSMC, UMC, 글로벌 등.

⯄ 패키징[Packaging] : 반도체 칩을 탑재시킬 기기에 맞는 형태로 만드는 기술

⯄ 메모리반도체 : 뇌의 기억장치와 같이 데이터를 자장 하는 역할을 합니다.

⯄ 비메모리반도체 : 저장기능 없이 연산, 제어, 논리작업 등과 같은 정보처리를 목적으로 제작되는

    시스템반도체입니다.

⯄ 도체 : 전기가 흐를 수 있는 물질.

⯄ 부도체 : 전기가 흐를 수 없는 물질.

⯄ 반도체 : 특정조건에만 전기가 흐르는 제품. 전기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파운드리 전, 후과정.

⯄ 반도체생산공정에서는 설계, 웨이퍼 생산, 패키징, 판매 유통 4가지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 위 화면 4가지 과정을 한 기업에서 작업하는 기업을 종합반도체업 기업으로 IDM이라고 한다.

⯄ 위 화면 좌측에 파운드리에 기업은 삼성과 대만에 TSMC가 웨이퍼를 생산만 하는 기업이 해당됩

    니다.

파운드리와 반도체 차이점.

구분 메모리 반도체 비메모리 반도체
목적 정보 저장 정보 처리
제품 D램, S램, V램, 롬 등 CPU, ASIC, MDL, 멀티미디어 반도체, 파워 반도체
생산방식 소픔종 대량 생산 다품종 소령 생산
기술성 미세공정 등 HW 양산능력 설계 및 SW기술력
선행기술개발, 자본력, 설비투자 선행기술 개발, 자본력, 설비투자 우수 설계인력, 설계기술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