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글에서 중복없는 정규URL로만 색인되도록 유인
풍수해 감염병, 예방수칙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풍수해 감염병, 예방수칙 바로가기.

by Bang cho ri 2024. 7. 19.
반응형

 

 

 

풍수해 감염병은 장마와 태풍 등으로 하천이 범람하여 위생환경이 취약해서 생기는 감

염병으로 예방수칙 바로 알고 사전 예방을 해야 합니다. 전염 매개체는 병원균과 모기

파리 등에 의해 전염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안전한 물과 음식을 섭취하고 손 씻기 등

개인위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 풍수해 감염병 발생원인.

 

 

 

- -

- 풍수해 감염병은 장마와 태풍으로 인해 서식처의 환경변화와 위생환경이 취약해져 감염매계체에

  의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습니다.

- 장마가 시작되는 계절에는 폭우로 홍수사태가 발생하여 주택가와 농경지등에 막대한 피해를 입이

  고 감염병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 무더운 여름날씨에 장마와 태풍과 함께 찾아오는 풍수해 전염병이 있습니다.

- 폭우로 인해 산사태가 하천을 범람하고 침수가 발생한 경우 감염매체인 병원균, 파리, 모기, 쥐 등

  에 의한 감염병이 유행할 수 있습니다.

- 감염매체의 서식지 환경변화와 위생환경이 취약해져 수인성 감염병이 전염될 수 있습니다.

 

 

 

 

⯄ 풍수해 주요 발생 감염병 종류.

 

  풍수해 주요 발생 감염병 크게 4종류로 분류됩니다.                                  <질병관리청 공유>

  ① 수인성ㆍ식품 매개 감염병.

  ② 모기 매개 감염병.

  ③ 접촉성 피부병, 파상풍, 레토스피라

  ④ 안과 감염병.

 

 

⯄ 풍수해 감염병 예방 수칙.

구분 매개체 예방수칙
수인성 ㆍ식품 매개 감염병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 A형 간염등
장출혈성대장균감염증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물이 닿거나 냉장이 유지되지 않은 음식 섭취
 하지 않기.
- 끓인 물이나 생수 등 안전한 물 먹고 사용하기
- 음식은 위생적으로 조리하고 충분히 익혀먹기
- 설가,구토등의 증상이나 손에 상처가 있을 시 
  조리하지 않기.
- 채소, 과일은 깨끗한 물에 충분히 씻어 먹기
모기 매개 감염병 말라리아, 일본뇌염 등 - 모기기피제 사용하기
- 야간활동 자제하기(일몰 후 ~ 일출 전)
- 야간 야와활동 시 밝은 색 긴 옷 칙용하기
- 야외활동 후 샤워하기
- 가정용 살충제 사용 및 방충망 정비하기
- 고인물 등 모기 서식지 제거하기
- 모기에 물린 후 발열, 오한, 두통 등 증상 발생      시 의료기관 방문하기
접촉성 피부염, 피상품,
렙토스피라증
쥐, 돼지, 개 등 가축의 소변 등의 노출을
통해 감염되어 발생하는 감염병
- 침수지역에서 작업 시 방수 처리된 보호복과
   장화, 고무장갑, 착용하기
- 물에 노출된 피부는 깨끗한 물로 씻어내기
- 작업중 오염된 상처가 생기거나 작업후 발열,
  근육통 등 증상 발현 시 의료기관 방문하여
  진료받기.
안과 감염병 유행성각결막염 - 흐르는 물에 30초 이상 비누로 손 씻기
- 수건, 베개, 안약, 화장품 등 개인 소지품 함께
  사용하지 않기
- 눈에 부종, 출혈, 이물감 등이 있을 경우, 손으      로 비비거나 만지지 말고 안과 전문의 진료
  받기.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