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 으로 수익창출과 재산증식 !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639

온열질환 발생즉시 응급조치 신속하게! 여름철 무더운 날씨에 뜨거운 열로 인하여 발생하는 급성질환이다. 특히 노령층이나 어린이등은 외부에 장시간 노출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열로 인하여 뜨거운 곳에서 장시간 노출되면 두통, 어지럼증, 근육경련, 피로감, 의식저하 등의 증상을 보인다. 온열질환자는 증상이 나타난 즉시 응급치료해야 한다. 1. 온열질환은 주로 언제, 어디서 발생하나요? 온열질환 응급실감시체계 운영 결과에 의하면, 53.1%는 낮 시간(낮 12시 ~ 오후 5시)에 , 45.8%는 실외 작업장과 논밭에서 발생했습니다. 2. 온열질환에 취약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노인, 어린이, 야외근로자, 만성질환자는 폭염 노출에 취약하다. 특히 80세 이상 고령층과 어린이는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폭염 시 아이가 차 안에 잠시라도 혼자 있지 않도록 .. 2023. 7. 30.
산사태 국민행동요령! 폭우, 집중호우, 태풍. 산사태는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원인으로 산지가 일시에 붕괴되어 주민에게 피해를 주고 있다. 산지 또는 계에서 토석이나 나무 등이 물과 섞여 빠른 속도로 유출되어 흘러내린다. 산사태 주민 행동요령을 홍보하여 장맛비나, 폭우, 집중호우, 태풍 시에는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각별히 관리해야 한다. 1. 산사태 주민행동요령. 1. 산사태 국민행동요령. ▶ 일상생활 중에 ➜점검하고 - 점검하고 집 근처 배수시설 등을 점검하고 위험요인을 발견 시 시ㆍ군ㆍ구청 및 행정복지 센터에 신고한다. ▶ 산사태 발생 우려 시➜ 대비하고 - 산사태정보 시스템(PC), 스마트산림재해 앱(스마트폰)또는 방성을 통해 산사태 예보 발령 정보를 확인한다. ▶ 산사태 발생 시 ➜ 대피하고 - 산사태 방향과 멀어지는 방향, 가장 안전한 높은.. 2023. 7. 30.
<농약 사용 기준의 강화> PLS 제도란 ? 온 국민의 건강과 식품안전은 농업인들에게 달려있다. 농업인이 사용하는 농약과 화학비료는 농산물생산과정에서 음으로 양으로 사용해오고 있습니다. 농산물이 농약과 화학비료로 부터 안전성과 신뢰도를 확보하기 위해 정부에서 PLS제도를 도입하였다. 농약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로 식품 중 잔류농약관리를 하는 제도다. 1. PLS 개요. 농약허용물질목록 관리제도는 영어로(Positive List System) 칭한다. 농촌에서 2019년부터 PLS제도가 적용되어 왔다. 농약을 더욱 신중하게 사용해서 농산물 생산에 안전하게 사용하고 관리하는 것이다. 모든 농작물은 사용가능한 농작물, 병해충, 용량 등을 정해 농약등록을 하고 있다. 특정농작물에 등록하지 않은 농약을 사용할 경우에는 유사한 농작에 설정한 잔류농약 허용기준을 .. 2023. 7. 29.
채소등 구입시 GAP 마크 확인 필요성. 농장에서 농산물을 안전하게 관리하여 소비자한테 공급하기 위한 제도이다. 생산ㆍ수확, 관리 및 유통 단계에서 관리기준에 따라 깨끗하게 관리한다. 그리고 농산물을 생산에서부터 유통단계에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각종 유해 물질등이 농산물에 오염되는 것을 관리기준에 따라 차단하기 위해 시행 돠는 것이 GAP제도이다. 1. 개요. GAP는 농산물을 안전하게 관리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이다. 농산물을 생산, 수확을 거쳐 유통의 각단계에서 관리기준에 따라 깨끗하게 관리한다. 농약이나 유해 미생물등이 농산물에 오염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해 시행되는 제도이다. 생산에서 유통단계의 전 과정 실천해야 하는 내용들로 구성되어 있다. 농장에서는 실내ㆍ외 청결유지와 정리정돈 환경에서 생산해야 한다. 청결을 유지하지 않으면 각종 유해물.. 2023. 7. 29.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