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21 노로바이러스감염증, <전염예방, 식증독예방> 겨울철과 여름철에 유행하는 위장관염이라 하며, 노로바이러스감염증으로 겨울철 불청객이다. 사람의 위와 장에 염증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노로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일어나는 식중독이다. 미량의 바이러스 만으로 도 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다. 위와 장에 전염이 되는 강한 질병이다. 1. 노로바이러스감염증. - 급성 장관감염증. 노로바이러스로 인해 위와 장에 나타날수있는 장염 중상이다. - 노로바이러스 감염은 연중발생한다. - 특히 겨울철(11월 ~ 4월)에 더욱 유행할수 있습니다. 2. 감염경로. - 노로바이러스에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을 섭취하면 감염된다. - 환자의 분변 또는 구토물에 오염된 손이나 환경에 접촉한경우. - 환자구토물의 비말을 통햐서도 전파될수 있다. 3. 증상. - 감염 1 ~2일 안에 구.. 2023. 9. 28. 쥐 감염병, <신증후군출혈열, 렙토스피라증> 가을철 농번기를 맞아 추수와 추석명절을 앞두고 야외활동이 증가한다. 가을철에는 특히 들쥐들이 많이 나와 다니면서 쥐로 인한 감염병이 늘어나고 있다. 농촌에서 농산물 거두어들이느라 농작업을 하시는 분들은 감염병특성을 이해하고 예방수칙을 지켜야 한다. 1. 쥐로 인함 감염병. 늦가을부터 초겨울까지 특히 조심해야 한다. 과거에는 유해성 출혈열 아라고 불리던 신증후군출혈열은 쥐에 의해 감염되는 급성발열성 질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탄바이러스와 서울바이러스에 의해 감염된다. 신증후군출혈열은 우리나라의 경우 한국전쟁 중 군인에서 처음 발생이 보고되었다. 신증후군출혈열은 감염된 쥐의 소변, 타액, 대변을 통해 배출된 바이러스가 전염된다.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먼지와 함께 공중을 떠 다니다가 사람의 눈, 코, 입, 상처.. 2023. 9. 24. 쯔쯔가무시증, <진드기 , 야외활동> 추석을 맞이하여 벌초를 하거나 들에서 농작물 작업을 할 때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쯧쯧 가무시증은 세균이나 바이러스에 감염된 진드기에 물린 후 발생하는 감염병이다. 야외에서 활동 중에 진드기에 물리면 진드기 체내에 있는 병원체가 사람의 몸으로 들어가 감염을 일으킨다. 1. 진드기로 인한 감염병. ► 쯔쯔가무시증은 쯔쯔가무시균이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 몸속에 기생하고 있다가 털진드기 유충이 사람을 물었을 때 사람 몸속으로 침투하여 발생하는 질환이다. 텃밭, 농경지, 농로, 주거지 주변등 풀이 있는 장소는 털진드기 서식지다. 진드기로 인한 감염병이 발생할 수 있는 위험 지역이다 쯔쯔가무시증은 농업인, 농작업자, 여자, 50세 이상 고령자에게서 많이 발생한다. 최근 쯔쯔가무시증은 증가추세다 주.. 2023. 9. 24. 에너지캐시백, 한국전력 전기절약 신청 전 국민이 함께하는 이너지 절약으로 낭비되는 에너지 소비를 막는 것입니다. 정부와 한전은 에너지 절약 문화를 확산하고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가정의 부담을 덜기 위해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사업을 시작하였습니다. 에너지 캐시백 신청을 하여 가계전기요금을 부담을 덜고 에너지절약에 호응해야 한다. 1. 주택용 에너지 캐시백 정의. 2022년부터 도입된 주택용 고객의 전기에너지 소비절약을 위한 제도이다. 과거에 사용한 전기보다 절약한 만큼 캐시백으로 돌려주는 에너지 절약 추진 사업이다. 에너지절약에 참여 신청한 주택용 전기 사영자가 전기사용량을 절감할 경우 기준에 따라 현재사용하고 있는 기본 캐시백과 신설된 차등 캐시백을 지급받는다. 2. 캐시백 종류. ► 기본 캐시백 : 에너지 캐시백은 과거 2년간 월별 평균 .. 2023. 9. 23. 이전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 18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