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카테고리의 글 목록 (130 Page)
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18

친환경 농축산물 인증 제도, 종류 알고 사자 ! 농ㆍ축산물을 생산자에서 소비자에게 안전하게 보급하는 과정을 전문인증기관이 엄격한 기준으로 관리한다. 생산된 농ㆍ축산물을 인증기관이 엄격하게 선별ㆍ검사를 한다. 정부에서는 선별ㆍ검사를 통과한 생산품에 대하여 안정성을 인증해 주는 제도다. 구매자는 친환경 농ㆍ축산물인증제도의 종류별 표기을 알고 선택을 해야 한다. 1. 유기농. - 유기 농산물은 농약과 화학 비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생산된 농산물이다. - 유기물퇴비와 낙엽등을 부숙 시켜 사용하고 유기질 영양소를 공급받아 크기 때문에 병해충에 강하다. - 유기농은 영양성분이 일반식품에 비해 25배가 높다. - 농림축산식품부 유기농 마크와 무농약마크를 확인하고 구매하면 안전성이 있다. - 유기농생산제품과 무농약생산제품은 가격차이가 있다. - 유기농 인증을 받기.. 2023. 7. 27.
알아야할 !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와 GAP 인증제도. 친환경은 토양오염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질오염도 없고 미생물의 활동이 활발하여 농업생태계를 건강하게 보전하는 것이다. 환경오염이 없는 토양에서 농산물 생산자가 화학비료와 농약을 사용하지 않고 유기비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식물을 자연 그대로 생산을 하는 친환경 농산물인증제도와 GAP인증제도가 있다. 1. 친환경농산물인증제도. 사람들이 흔히 말하는 친환경이라고 표현들을 하지만 실제 내용을 말하라면 대부분 답변하기가 곤란한 표정을 짓는 것으로 알고 있다. 친환경 농산물도 같은 맥락에 표정을 짓는다. 사람들에 먹거리가 인체에 유해하지도 않으면서 건강에 좋은 다양한 채소 등을 친환경 농산물이라고 선호를 한다. 친환경의 뜻을 사전에서 보면 환경에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라고 되어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쓰인 것을 보.. 2023. 7. 26.
유기농 과 무농약 차이는 무엇인가 ? 농촌에서 생산되는 채소를 비롯해 다양한 농산물이 있다. 생산성을 높이고 농산물의 병해충을 방지하기 위해 화학비료와 농약을 계속 사용해 왔다. 과다한 화학성분 비료와 농약사용으로 환경이 오염되어 가고 있다. 비료와 농약대신 퇴비 같은 유기질비료와 생물학적인 방법으로 유기농 농산물을 생산하여 유해성분으로부터 탈피하고자 한다. 1. 유기농. 사람들이 농산물을 생산할 때 예전에는 퇴비 같은 유기질비료와 자연적인 방법으로 병해충을 해결하였다. 산업이 발전하면서 화학성분이 들어있는 비료가 생산되어 사용하였다. 그리고 농약도 인체에 유해한 성분으로 생산보급되어 사용하고 있다. 화학성분이 들어 있는 비료나 농약을 과다사용 할 시 에는 토양을 오염시킨다. 비가 내리면서 오염된 토양으로부터 수질도 오염된다. 퇴비는 미생물.. 2023. 7. 26.
여름철 집중호우, 농작물 및 농업시설물 관리요령. 여름철 에는 장맛비와 무더위로 농작물 병충해 피해가 기승을 부린다. 장마와 집중호우로 인한 농작물에 대한 피해는 엄청나다. 특히 농작물은 1년 농사로 하기 때문에 피해가 발생하면 감당이 안 된다, 그리고 농작물에 대한 시설도 마찬가지다. 집중호우와 장마로 인하여 발생하는 농작물과 농업시설물관리요령을 지켜 피해를 줄이도록 하여 야한다. 1. 벼 배수관리. ▶ 사전대비. - 배수로와 배수구 연결, 물꼬높이 조절 등 정비 철저. - 배수로 잡초제거 및 물길정비로 원활한 물 빠짐 유도. ▶ 사후조치.ㆍ - 침ㆍ관수된 논은 서둘러 물 빼기. - 물이 빠진 후에는 새물 걸러대기로 뿌리 활력 촉진. - 침ㆍ관수된 논은 도열병, 흰 잎마름병, 벼멸구 등 병해충 방제. 2. 농작물 관리요령. ▶ 벼. - 침ㆍ관수 벼 흙.. 2023. 7. 25.
반응형

TOP

Designed by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