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17 EM의 역활 <나쁜균, 해바라기균, 좋은균> 미생물은 오래전부터 세균가 같이 공생하고 있었다. 세균 중에는 좋은 균과 나쁜 균이 있다. 몸속에서 기생하는 균을 유익균 또는 유해균이라 부른다. 중간에 해바라기균이 활동을 한다. 유용한 미생물의 활동으로 해바라기균이 좋은 균으로 변화가 되어 식물과 동물에 도움을 준다. 나쁜 균 세균은 가만히 둬도 잘 자란다. 세균의 특징이다. 유익균과 유해균이 서로 균형을 맞추고 있다. 균형관계가 깨지면 서 유해균이 득세를 한다. 곰팡이라던지 병원균들이 득세를 한다. 유해균이 득세를 하는 경우가 문제를 일으킨다. 우리 몸에 균형이 깨지면 문제점을 찾아야 한다. 균형을 깨뜨린 세균부터 문제점을 찾는 것이 원칙이다. 몸속에 있는 균들의 경로는 외부로부터 들어온다. 외 부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조절할 수가 있는 것과 조절할 .. 2023. 4. 29. 수질정화! 흙공활용, EM활용. 하천의 수질오염은 생태계를 파게 하는 요인이다. 가정에서 발생하는 생활용수, 축산폐수, 등도 하천을 오염시킨다. 미생물로 만든 EM 흙 공을 투척하여 수질정화를 한다. 논, 밭, 산과 들에 마구잡이로 버려진 일반쓰레기도 오염원이 되고 있다. 하천오염은 과 바다오염의 근원이 되고 결국 우리들이 피해를 보게 된다. 수질정화 하천의 종류는 대하천, 중 하천, 소하천 3종류로 크게 나눈다. 생활 주변에 있는 하천이 소하천일 것이다. 하천은 한번 오염이 되면 스스로 기능을 회복하는데 시간이 걸린다. 비가 오면 다양한 지역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흘러들어 간다. 특히 사업장 내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물질이 방류된다. 농촌에서는 비가 오면 농약과 화학비료의 오염물질 흘러 하천으로 유입된다. 도시, 논과 밭, 산.. 2023. 4. 29. EM, 흙 공 과 음식물쓰레기 퇴비 만들기 오염된 하천을 수질정화 하기 위해 EM 흙 공을 활용하면 효과가 클 것이다. 오염된 하천을 친환경적으로 만들어진 미생물을 활용하면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제거한다. 일상생활에서 배출되는 음식쓰레기를 미생물을 이용하여 퇴비를 만들어 악취를 제거한다. 악취가 제거된 음식쓰레기는 퇴비를 만드는 데 사용한다. 흙 공 만들기 (1) 이엠 흙 공의 효과 EM에 의한 흙 공의 효과는 광합성균을 핵으로 하는 복합 미생물 군이 상승적으로 기능함으로써 환경오염원을 유용 발효시켜 환경정화원으로 바꾸며, 동시에 EM의 움직임과 EM이 만들어 내는 효소, 항산화물질에 의해 하천과 바다의 자정 작용을 생태계가 다양하게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쌀뜨물을 EM(유용미생물)으로 발효시키면서 쌀뜨물에 있는 고분자의 탄수화물 (전분), 단백질,.. 2023. 4. 28. 하천, 호수 정화 <환경보호, 오폐수 정화> 일상생활폐수 와 사업장에서 배출하는 오폐수로 인하여 하천과 호수가 오염되었다. 오염된 하천과 호수에 수질 정화 작업을 하여 환경을 깨끗하게 하고 인체에 유해가 없도록 해야 한다. 유용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하천과 호수에 수질 정화를 하면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개요 하천과 강 그리고 호수에는 폭우가 쏟아지고 나면 각종 일반 쓰레기로 덮여있다. 생활쓰레기와 농축산에서 또는 사업장에서 배출된 폐기물이다. 이폐기물이 하천을 거처 강으로 흘러들어 가고 나중에는 바다로 들어가게 된다. 우리가 사용하다 버릴 때 지정된 장소에 버리지 않고 마구 버린 결과다. 폐기물 중에 플라스틱제품이 비중을 제일 많이 차지한다. 도로, 논밭, 또는 강가에서 우리가 흔히 볼 수 있는 플라스틱제품은 마구 버려진 것이다. 버려진 제품.. 2023. 4. 28. 이전 1 ··· 147 148 149 150 151 152 153 ··· 155 다음 반응형